알마게스트 제3권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3권의 내용
알마게스트』 제3권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3권의 내용
알마게스트』 제3권"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3권연(年)의 길이, 태양의 평균운동, 천체의 일률적인 순환운동, 태양의 겉보기 근점이 각(近離), 태양의 평균 운동의 시기, 태양의 위치 계산법, 태양의 불균등(不均等)하지-동지-춘분-추분의 불규칙한 세차운동(運動), 춘·추분과 황도경사각 그리고 적도가 보여 주는 변화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가설들, 달의 칭동(動), 춘·추분의 세차와 황도 경사각의 불규칙성, 춘·추분의 규칙적인 특징과 외견상 세차 사이에서 발견되는 오차, 춘·추분과 근점이각의 규칙적 운동들에 관한 위치의 결정, 춘분점과 황도경사각의 세차에 관한 계산법, 태양력의 오차와 그 정도, 지구중심의 공전에서 규칙적이며 평균적인 운동에 관한 논증, 태양 운동의 겉보기 불규칙성을 시현(現)하기 위한 필수적인 이론들, 태양 겉보기 운동의 불규칙성, 태양의 연중 불규칙적 운동에 관한 시현(現), 연초年初) 태양의 규칙적인 운동의 위치 결정, 원지점과 근지점 때문에 태양의 경우에서 발생하는 불규칙성, 태양의 불규칙성에서 발생하는 오차의 크기, 태양의 원지점에서 규칙적 그리고 불규칙적 운동의 표현, 태양의 근점이각의 보정과 위치 결정, 규칙적인 운동과 겉보기 현상 사이에서 발생하는 오차, 태양의 겉보기 운동의 계산, 자연일(自然日)의 오차
<표 3>의 내용 비교에서 볼 수 있듯, 제3권에서부터 두 책의 방향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알마게스트』제3권은 앞서 제2권에서 다루었던 태양과 관련된 주제들을 보다 심화하는 과정으로 기술되고 있는 반면,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3권은 '지구중심설'이라는 원칙이 태양이 운동한다는 가정하에서 만들어진 결과들과 제대로 부합되지 못하고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그런데 제4권에서는 다시 두 책 모두 달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다음 표를 살펴보자.
〈표 4〉『알마게스트』 제4권과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4권의 내용1
「알마게스트」 제4권「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4권달 관측의 기본 전제, 한 달의 주기, 달의 평균 운동, 달의 공전 궤도 이심률과 주전원 가설에 의해 만들어지는 현상, 달의 근점이각 고대 학자들이 생각한 달의 원운동에 관한 가설, 고대 학자들의 억측과 부정확성, 달의 운동과 관련된 여타 이론들, 달의 공전과 그 특수성, 초승달과 보름달일 때 발생하는 달의 불규칙성, 달의 근점이각에서의 운동, 달의 위치, 주전원의 비율과 달의 불규칙성, 달의 주전원상에서 발견되는 오차, 달의 겉보기 운동에 관한 규칙적 시현(現), 달의 가감(加), 달의 운동 경로, 시차 관측을 위한 기기(機)의 구성, 달의 시차 결정, 지구의 반지름을 기준으로 한 지구와 달까지의 거리와 비율, 달과 지구의 직경 계산법, 지구로부터 달과 태양의 거리 그리고 태양과 달 및 지구의 크기
<표 5〉『알마게스트』 제4권과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4권의 내용2
『알마게스트」 제4권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4권 백도와 근점이각 안에서 보여지는 달의 평균 운동에 대한 시기와 보정, 달의 근점이각과 관련된 계산법, 히파르쿠스에 의한 달의 근점이각과 관련된 이론 태양의 겉보기 직경과 그 시차, 달의 불균등한 겉보기 직경, 지구그림자들 사이의 오차 비율, 경도 및 위도와 관련된 시차, 태양과 달의 충과 합(合), 태양과 달의 실질적인 충과 합의 근사실험驗), 일식과 월식
<표 4>와 <표 5>의 내용 비교에서 볼 수 있듯,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는 알마게스트』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선대 학자들의 잘못된 가설들을 다양하게 소개하며 그 모순에 대한 논증을 다양하게 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알마게스트는 제5권과 제6권에서도 여전히 달 및 태양과 관련된 논증들을 이어가고 있다. 다음 표를 통해 알마게스트」 제5권과 제6권의 논증 내용을 살펴보자.
「알마게스트」 제5권
아스트롤라베(astrolabe: 천체관측 기구)의 구성, 달의 이중근점이각에 대한 가설, 태양과 관련된 달의 근점이각의 크기, 달의 공전 궤도 이심률, 달의 주전원 방향, 달의 실제적 위치와 기하학적 계산, 달의 근점이각에 대한 관측 자료, 합과 충의 위치에서 오차와 달의 이심률, 달의 시차, 시차 측정 기구의 구성, 달까지의 거리 측정, 합과 충의 위치에서 태양과 달에 대한 그림자의 겉보기 직경의 비율, 태양까지의 거리, 태양과 달 그리고 지구의 크기, 태양과 달의 시 시차표 시차의 결정
<표> 알마게스트』 제6권의 내용
「알마게스트』 제6권
태양과 달의 충과 합, 평균적인 충 그리고 합과 관련된 표의 구성, 평균적인 충과 합 그리고 실제적인 충과 합의 결정 방법, 태양과 달의 식蝕) 한계 개월(月)과 식현상 간격, 의식현상의 표, 월식의 결정, 식의 경사각, 경사에 대한 작도, 경사각의 결정 방법
<표 6〉과 〈표 7>의 내용에서 볼 수 있듯, 『알마게스트』제5권의 내용은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4권 후반부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이고, 『알마게스트』 제6권의 내용은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4권 말미에서 다루고 있는 논증들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알마게스트』 제7권과 제8권은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2권에서 다루었던 내용들을 논증하고 있다.
<표 8> 알마게스트」 제7권 제8권의 내용
『알마게스트』 제7권 『알마게스트」 제8권 천상계에 고정된 항성들의 상대적 위치, 황도상에서의 항성(恒星球) 운동, 항성구 후방운동과 황극의 관계, 항성들의 위치 기록 방법, 북반구에서의 별자리 보기판의 배치 남반구 별자리 보기판의 배치, 은하계의 영역, 고체 구형의 구성, 항성들 배치의 특징, 항성들의 동시적 출몰, 항성들의 처음과 마지막 관측 시정 이처럼 알마게스트」 제1권에서 제8권까지의 내용과 천구의 회전에관하여」 제1권에서 제4권까지의 내용을 비교해 볼 때, 「알마게스트』제7권과 제8권의 내용이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2권 후반부에 기술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거의 비슷한 순서로 논증되고 있음을발견할 수 있다.
이제 알마게스트』는 제9권에서부터 본격적으로 행성들에 관한 논증들로 들어가는데, 이와 관련해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5권의 논증내용들과 비교해 보자.
〈표 9〉 『알마게스트」 제9권과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5권의 내용
「알마게스트」 제9권태양과 달을 비롯한 다섯 개 행성들이 박혀있는 구(球)들의 순서, 행성과 관련된 가설, 다섯 개의 행성들의 공전 주기, 다섯개 행성들의 황도와 근점이각에 있어서의평균 운동, 다섯 개 행성들의 가설과 관련해서 요구되는 전제 가설 사이의들,유형과 차이점, 수성의 원지점과 그 이동의 위치, 수성의 공전과 지구의 위치 관계,수성의 근점이각의 비율과 정도, 수성의주기적 운동들에 대한 보정, 주기적 운동의 시기 행성들의 공전과 평균 운동, 고대 선조들의이론에 따른 행성들의 규칙적 운동과 겉보기 운동의 시현(現), 지구의 운동으로 인한겉보기 불규칙성의 일반적 시현, 행성들이불규칙한 운동을 하게 되는 원인, 토성 운동의 시현, 토성의 충, 토성의 운동, 토성의위치 결정, 지구의 운동으로 인한 토성의 시차, 지구와 토성 사이의 거리, 목성 운동의시현, 목성의 충(), 목성의 규칙적 운동, 목성의 위치 결정, 지구의 운동으로 인한 목성의 시차 목성의 원지점과 이심률의 시현, 목성 주전원의 크기, 목성의 주기적 운동의 보정, 목성의 주기적 운동의 시기, 토성 원지점의 위치와 이심률의 시현, 토성 주전원의 크기, 토성의 주기적 운동의 보정, 토성의 주기적 운동 시기, 주기적 운동들로부터 행성들의 실제 위치를 기하학적으로 유도하는 방법, 목성과 토성의 근점이각과 관련된 표, 황도상에서 다섯 개 행성들의 위치 결정, 다섯 개 행성들의 황도와 관련된 계산법
『알마게스트』 제12권
행성들의 역행에 대한 전제 가설, 토성의 역행에 대한 시현, 목성의 역행에 대한 시현, 화성의 역행에 대한 시현, 금성의 역행에 대한 시현, 수성의 역행에 대한 시현, 행성들의 유)와 관련된 표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제5권
화성의 운동, 화성의 위치 결정, 화성 공전 궤도의 크기, 금성 공전 궤도의 직경과 비율, 금성의 이중 운동, 금성 운동의 시현, 금성의 근점이각의 위치, 수성의 타원 궤도에 대한 원지점과 근지점의 위치, 수성의 이심률, 수성 공전 궤도의 크기, 수성의 이각, 수성의 평균 운동, 수성의 위치 결정, 수성의 접근과 후퇴, 다섯 개 행성들의 경도상에서의 위치 결정, 다섯 개 행성들의 유)와 역행(逆行), 행성들의 역행 시간과 위치 및 호(弧)의 결정
〈표 9〉, 〈표 10〉, 〈표 11>의 내용 비교에서 볼 수 있듯, 『알마게스트』 제9권과 제10권에서 기술된 논증들은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5권 후반부에서 논증되고 있고, 『알마게스트』 제11권에 기술된 논증들은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5권 전반부에서 논증되고 있으며, 『알마게스트』제12권에서 기술된 논증들은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제5권 후반부에서 논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